안녕하세요. 꽃담비입니다.
요즘 많은 사람들이 불확실한 미래때문에 가장 안정적이라고 생각하는 공무원을 꿈꾸고, 공무원이 되기 위해서 모든 시간을 시험준비에 할애하는데 그럼에도 공무원되기는 하늘에 별따기라 힘들어하는데요. 그렇다면 그 안정적인 공무원의 급여는 얼마나 될까요? 공무원이 되면 세상부러울 것이 없이 누리고 살 것 같은데 정말 그럴 수 있는지 공무원의 급여를 알아보도록 합니다.
공무원 급여를 알아보려고 하니, '대한민국공무원되기'라는 사이트가 있네요. 그럼 이 사이트에 들어가서 공무원급여 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공무원들의 실수령액은 여러가지가 종합되어 이루어지는데요. 용어를 먼저 알아보고 난 후 급여에 대하여 알아보면 더 이해가 쉽게 되겠죠.
주요 용어로는
`보수 : 봉급(연봉) + 기타 각종 수당
`봉급 : 직무의 곤란성, 책임도에 따라 직책별로 지급되는 기본급여 또는 직무의 곤란성, 책임도, 재직기간 등에 다라 계급별, 호봉별로 지급되는 부가 급여
`수당 : 직무여건 및 생활여건 등에 따라 지급되는 부가 급여
`연봉 : 매년 1월1일부터 12월31일까지 1년간 지급되는 기본연봉과 성과 연봉을 합산한 금액
-기본연봉 : 해당 직책과 계급 및 개인의 누적성과를 반영하여 지급되는 기본급여의 연액.
- 성과연봉 : 전년도 업무실적의 평가결과를 반영하여 지급되는 급여의 연액
`연봉원액 : 연봉에서 매월 지급되는 금액으로서 연봉을 12로 나눈 금액
주요 용어는 이렇게 이루어져 있습니다. 이 용어를 생각하면서 해당 공무원실 수령액을 참고 하시면 될 것 같아요.
2017년 일반직공무원봉급표 입니다. 이 봉급표에서 보면 9급공무원초봉 1,395,800원, 8급공무원초봉 1,546,200원, 7급공무원초봉 1,734,200원이네요. 공무원급여가 생각보다는 많지는 않네요. 그렇지만 각종 수당 및 연금을 생각하면 만족되지 않을가요.
위의 표를 보면 7급인데도 급여가 다르네요. 호봉 수에 따라 다른데 호봉은 근무년수에 따라 달라지겠죠. 7급의 1호봉 총수는 2,613,000원이네요. 총보수에는 <기본급 + 공통수당(정근수당,정액급식비, 직급보조비, 명절휴가비)>이네요.
그렇다면 힘들게 공부해서 공무원이 되어서 나의 초봉호봉획정이 어떻게 이루어 지는지 궁금하지요. 초봉호봉 획정 절차 및 방법은 경력환산율표의 적용에 경력의 증명 및 조회(경력인정 여부 확인)하고 계급별 경력기간 계산에 상당계급 및 기간계산, 호봉경력 평가. 심의는 기관별 호봉경력 평가. 심의회 개최 동일분야, 상당계급 등 심의 후 경력인정여부.결정한다네요. 그리고 초봉호봉임 회정, 초봉호봉표 적용, 잔여기간 계산(호봉계산) 이렇게 이루어 진다고 합니다.
연봉 및 연봉외 급여에 대하여 자세히 알아보도록할께요.
` 기본연봉
- 1차년도(최초 연봉제 전환연도): 봉급.정근수단(가산금 및 추가가산금 포함).관리업무수당. 명절휴가비의 연액을 합산한 급액으로 전환 * 다만, 일반인기제 공무원의 5호 이하 및 전문기제공무원업무수당 제외라고 합니다.
-2차년도 이후 : 2차년도 이후 기본연봉액 = 전년도 기본연봉액 +-당해연도 정책조정액
`성과연봉
- 전년도 업무성과의 평가결과에 따라 평가등급별로 차등하여 지급.
` 연봉외 급여
- 기본연봉에 포함되지 아니하는 수당 및 실비변상 등으로서 보수관련 등에 별도 지급하는 급여.
공무원이 되고자 준비를 하고 계시는 수험생께 도움이 되셨으면합니다. 그리고 꼭 합격하여 많은 사람드링 부러워하는 공무원이 꼭 되시길 바랍니다.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봄나물 냉이의 효능을 알고 먹자 (0) | 2017.02.28 |
---|---|
멜론 정기결제 해지 (0) | 2017.02.21 |
여권영문이름표기법 가장 쉬운방법 (0) | 2017.02.21 |
부산지하절 승차권의 종류와 정기권 이용방법 (0) | 2017.01.23 |
도시가스요금 조회 아주 간편해요 (0) | 2016.11.04 |
댓글